티스토리 뷰

목차



    당연하게도 나는 너를 책표지
    < 당연하게도 나는 너를 >

     

     

     

     

    소감

    풋풋하고 설레는 이야기로 시작되는 '당연하게도 나는 너를' 은 고등학생인 해주와 해록이 커플로 등장한다. 시작만 보았을때는 '로맨스 소설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는 해주의 독백으로  해주가 누군가한테 말을 건네는 것처럼 고백하는 듯이 펼쳐진다. 온전히 해주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펼쳐지기 때문에 해주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받아들이게 되지만, 해주의 집으로 찾아오는 경찰과의 만남 이후 이어지는 이야기는 어떻게 된일인지 궁금해하며 속도를 내어 책을 보게 된다. 해주의 이야기만으로 생각되어지는 건 '왜 남자친구한테 휘둘릴까? 해주는 자존감이 낮은 친구인가보다.' 하는 생각이 들지만 해주의 이야기를 가만히 듣던 경찰은 '내가 해주 너를 만나기 이전에 이미 주변 친구들과 선생님 그리고 너의 부모님의 이야기를 다 듣고 왔다' 고 이야기 한다. 그런데 다른 이들의 말은 모두 일관성이 있지만 해주는 그들의 말과 너무 반대되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친구들은 하나같이 해주의 잘못을 이야기 했던 것이다. 남자친구 해록이가 해주를 강압하는 그런일은 없었다고 진술한 것이다. 결론 부터 이야기하자면  '당연하게도 너를' 이책은 가스라이팅과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남자친구 해록이가 아닌 해주가 가스라이팅을 하고 해록이를 괴롭혔던 것이다. 사랑한다는 이유하나 만으로상대방의 의사는 무시하고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고 강압하는 반복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은 폭력과 같은 것이다. 가족사이에서 친한 친구 또는 직장에서 알게 모르게 가스라이팅을 당하거나 상대방에게 행사하지는 않았을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심리적 조작의 일종으로, 사람의 현실 감각이나 기억, 인식 등을 의도적으로 왜곡하여 자신의 감정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드는 행동이다. 이 용어는 1938년 연극 “Gas Light”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연극의  주인공이 자신의 아내를 조작하여 그녀의 정신 상태를 의심하게 만들고 미쳐가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가스라이팅의 특징

    정보 왜곡: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은 피해자의 기억과 현실 인식을 왜곡하여, 피해자 자신의 경험을 의심하게 만든다. 
    감정적 조작: 피해자의 감정을 조작하여 자신감을 잃고 스스로의 감정이나 판단에 의문을 품게 만들며 자주 감정적으로 비난하거나 피해자가 그들의 감정을 과장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부정과 회피: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나 발언에 대해 부인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문제가 생겼을 때, 자신의 행동을 부인하거나 피해자가 문제를 과장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고립시키기: 피해자가 자신의 감정을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지 못하도록 하여, 피해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고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를 고립시켜 피해자가 혼자서 문제를 고민하게 만들기도한다.

    가스라이팅의 징후

    자신이 기억하는 것과 다른 이야기를 듣거나, 자신의 기억이 틀렸다고 자주 들어서 혼란스러워하고, 자신이 불안하거나 의심스러워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게 “너는 너무 민감해” 또는 “너만 그런 걸”이라고 듣게 될때.
    자신이 문제를 일으켰다고 생각하게 되고, 자주 자기 탓을 하게 되며 자신의 감정이나 판단을 무시하거나 부정당하는 느낌을 받을때.

    가스라이팅에 대처하는 방법

    기록하기: 중요한 대화나 사건들을 기록해 두는 것이 좋다. 나중에 상황을 확인하거나 기억을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 상담하기: 신뢰할 수 있는 친구나 가족과 자신의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듣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 감정 존중하기: 자신의 감정과 직관을 신뢰하고, 의심스러울 때 자신을 지지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문가 도움 받기: 심리 상담사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상황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스라이팅은 특히 친밀한 관계나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피해자가 스스로의 감정과 판단을 의심하게 만들어 심리적 고통을 주는 심각한 문제임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스라이팅과 조언의 차별성

    나를 위해 하게되는 훈계는 일회성이지만 대체로 ( ~해라. ) 가스라이팅은 끊임없는 동어반복(같은말 반복) 으로 o o 하지마. 가만히 있으라는 요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반응형